오늘은 간단하게 자취방을 구할때
꼭!!!!!!!!
확인해야할 리스트를 말해보려 합니다.
다들 알만한 내용부터 시작해서 쭉 이어나가 보겠습니다.
자취방을 구할 때 꼭 확인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볼게요!
자취방 점검 리스트
1. 예산 & 월세
- 월세 & 보증금: 예산에 맞는지 확인
- 관리비 포함 항목: 수도, 인터넷, TV, 전기 등 포함 여부
- 추가 비용: 가스비, 전기세, 수도세 등 개별 부과되는 비용 확인
-> 제 경험 상, 직장이든 학교든 조금 더 비싸더라도, 근처에 잡으세요..
2. 위치 & 교통
- 대중교통: 지하철역, 버스 정류장이 가까운지
- 출퇴근/통학 거리: 직장이나 학교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 생활 편의시설: 편의점, 마트, 병원, 약국 등 근처에 있는지
3. 건물 상태 & 주변 환경
- 건물 연식: 오래된 건물일 경우 시설 점검 필요
- 보안 시설: 도어락, CCTV, 경비원 여부
- 소음: 벽이 얇거나 도로변이면 시끄러울 수 있음
- 다른 방과 연결된 곳 두드려보세요. 얇으면, 방음 안될 가능성 100%.
- 창문을 다 닫고 크게 말해보세요. -> 울리는지 확인
- 주변 치안: 밤에도 안전한지, 우범지역 아닌지 확인
4. 방 내부 체크
- 곰팡이 & 누수: 벽지나 천장에 얼룩 없는지 확인
- 창문 방향: 햇빛 잘 드는지, 환기 잘되는지
- 수도 체크 : 단순히 물 잘 나오는게 아니라, 따뜻한 물이 잘 나오는지 확인
- 생각보다 보일러 잔 고장이 많고, 물 온도가 왔다갔다 하는 집이 많음
- 냄새: 하수구 냄새가 심한지 체크
- 집이 아무리 좋더라도, 하수구 냄새가 심하면 절대 못 살아요!
- 세탁기 확인 : 진짜 중요합니다. 세탁기 고무 파킹 들어서 내부 확인하세요!
- 진짜 심한 곳은 아예 쓰기가 싫어집니다.
5. 계약 관련
- 전세 사기 조심: 등기부등본 확인해서 집주인 본인이 맞는지 체크
- 계약서 확인: 계약 기간, 퇴거 시 보증금 반환 조건 확인
- 계약서 확인하고, 혹시나 입주 청소 조건이 있으면, 어떻게 뭘 청소하는지 꼭 확인
- -> 대충 청소하고 돈 받아먹는 집 주인있음.
- 계약서 확인하고, 혹시나 입주 청소 조건이 있으면, 어떻게 뭘 청소하는지 꼭 확인
- 복비(중개 수수료): 법정 한도 초과하는지 확인
- 계약시 꼭 녹음하기
- 중개인이나, 집주인이 녹음하더라도, 똑같이 녹음하세요.
직접 가서 확인할 수 있으면 제일 좋고, 못 가더라도 영상 통화로 방 상태를 체크해보는 게 필수입니다!
조금 더 세세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신탁회사와 계약시
신탁회사가 소유한 자취방(부동산)을 임대할 때는 일반 계약과 조금 다른 점이 있어서 주의해야 해! 신탁 부동산의 경우 집주인이 신탁회사이므로, 등기부등본과 계약 주체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신탁회사와 계약할 때 꼭 확인해야 할 사항
1) 계약 상대방(임대인)이 누구인지 확인
- 신탁 부동산은 보통 신탁회사 명의로 되어 있음.
- 일반적으로 신탁회사가 임대인(집주인) 역할을 하지만, 경우에 따라 위탁자(원래 집주인)가 임대할 수도 있음.
- 등기부등본을 확인해서 임대인이 누구인지 확인 필수!
- 소유자가 신탁회사로 되어 있다면 → 신탁회사와 직접 계약
- 소유자가 개인인데 신탁계약이 설정돼 있다면 → 위탁자가 계약할 수도 있음 (위임장 필요)
2) 신탁회사의 동의 여부 확인
- 만약 집주인(위탁자)이 임대를 하는 경우, 신탁회사의 동의가 필요함
- 신탁회사가 동의하지 않은 계약은 무효가 될 수 있음
- 계약 전에 신탁회사로부터 '임대차 계약 동의서'를 받았는지 확인
3) 보증금 반환 관련 확인
- 일반적인 임대차 계약에서는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만, 신탁부동산의 경우 신탁회사가 이를 관리하는 경우가 많음.
- 보증금 반환 주체가 누구인지 계약서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
- 신탁회사가 보증금을 반환하는지, 위탁자가 반환하는지 확실히 해야 함.
4) 계약서 확인 & 특약 사항 명확히 하기
- 계약서에 신탁회사 명의가 들어가 있는지 확인
- 계약서에 ‘신탁회사 동의하에 체결된 계약’이라는 내용이 있는지 체크
- 보증금 반환, 계약 해지 조건, 관리비 납부 주체 등을 확실히 확인
5) 등기부등본 확인 (필수!)
- 소유자란에 신탁회사 명의가 있는지 체크
- 신탁 설정 내용, 신탁 기간 등을 확인하여 이상이 없는지 체크
- "처분금지" 조항이 있으면 위탁자가 마음대로 계약할 수 없으므로 주의
💡 신탁회사와 계약할 때 주의할 점 요약
✅ 계약 상대방(임대인)이 신탁회사인지, 위탁자인지 확인
✅ 신탁회사의 임대 동의 여부 확인 (필수)
✅ 보증금 반환 주체가 누구인지 계약서에 명확히 기재
✅ 등기부등본 확인 필수! (소유자 및 신탁 설정 여부 확인)
✅ 계약서 특약 사항을 꼼꼼히 확인하고, 필요하면 전문가 상담
특히 보증금 반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신탁회사가 직접 반환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
★!!!!!!!!!!!!!!! 꼭!!!! 신탁원부 확인!!!!!!!!!!!!!!!!★
📌 신탁부동산 계약 시, 신탁원부가 중요한 이유
✅ 누가 계약할 권한이 있는지 확인 가능
- 신탁회사가 직접 임대할 수 있는지, 아니면 위탁자가 계약할 수 있는지 확인 가능
✅ 보증금 반환 주체 확인 - 수익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주체가 다름
✅ 부동산 처분 제한 확인 - 신탁회사가 마음대로 매각할 수 있는지, 임대 계약이 안정적인지 확인 가능
-> 우리가 자체적으로 볼 수 없지만 계약시 꼭 보여달라고 하세요. 그리고 확인 후에 계약 해야합니다.
요즘 사기가 너무 많죠..?
계약하기도 무섭고,,,
근데, 살아야죠
어떻게든 작은 방이든 구해서,,
좋은 집은 나중에 조금 더 나중에, 구하고,
하나의 조건만 만족하더라도, 구해봅시다. 우리
작은 돈으로 차근 차근 해봅시다.
'자취생의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이 살아가는 방식에 대해, (1) | 2025.04.30 |
---|---|
자취방 물품 리스트 - 남자 자취방 리스트 / 자취방 체크 리스트 (1) | 2025.03.04 |
오늘 하루는 나에게 (1) | 2025.02.11 |
채선당 월남쌈&샤브샤브 올림픽공원점 - 음식점 리뷰 (0) | 2023.11.13 |
겨울 축제 소개 - 한눈에 보기! (0) | 2023.11.10 |
댓글